여산(廬山)의 안개비와 절강(浙江)의 물결이여!
가보지 못했을 땐 온갖 한이 많았는데
갔다가 돌아오니 별다른 것 없더라.
여산의 안개비와 절강의 물결일세.
- 소식(蘇軾, 1037년~1101년)
여산연우절강조(廬山煙雨浙江潮)
미도천반한불소(未到千般恨不消)
도득귀래무별사(到得歸來無別事)
여산연우절강조(廬山煙雨浙江潮)
풍문을 통해 전해들은 이상향의 소식은 언제나 조금은 과장되고 왜곡되기
마련입니다. 도(道)라든가 깨달음이라 하면 보통 사람은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신비스러운 어떤 것일 거란 선입견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누추한 현실과는 달리, 일상의 자질구레한 문제들을 훌쩍 벗어나서, 그것을
한 번 얻기만 하면 바야흐로 완전한 자유와 행복을 누릴 것이라 예상합니다.
그리하여 자신도 모르게 서로 다른 두 가지 상태나 세계를 상정하고,
그 가운데 하나는 버리고 다른 하나는 취하려는 의도와 노력으로 도나 깨달음을
구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도 내지 깨달음은
한 상태에서 다른 한 상태로의 변화나 전이가 아닙니다.
이러한 근본적인 착각을 돌아보지 못한 까닭에 찾아 구할수록 오히려
점점 더 헤매고 멀어지는 아이러니가 벌어집니다.
결국엔 몸소 한 번 맛보아야만 합니다.
풍문으로 듣고 상상 속에서 그렸던 사실을 직접적으로 경험해야만 합니다.
그 경험은 우리의 예상과 달리 매우 소박할 수도 있습니다.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기억을 회상하는 것과 같을 수 있습니다.
새롭게 얻거나 알아야 할 대상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있는 이대로 아무것도
달리 얻을 것이 없다는 사실에 대한 확신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직접 맛을 보면 별다른 것은 아닙니다.
너무 큰 기대를 했던 사람은 그만큼 실망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평범함, 이 소박함이야말로 진실로 비범한 것이요, 특별한 것입니다.
눈앞을 가리고 있던 한 생각에서 벗어나고도 한동안은 이 평범함의 비범함,
소박함의 특별함을 실감하기 쉽지 않습니다.
어느새 스스로를 살펴보는 일이 멈춰지는 순간 본래의 완전무결만 남습니다.
- 몽지님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꽃 / 변산구곡로 (0) | 2016.06.15 |
---|---|
행복을 여는 사람 (0) | 2016.06.13 |
허공에 매달려 / 各得其所(각득기소) (0) | 2016.06.09 |
첫사랑 / 도를 보려하면 (0) | 2016.06.08 |
삶과 사랑은 (0) | 2016.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