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

나의 참모습

차 지운 2017. 8. 14. 14:25

           

          덕숭총림 수덕사 방장 설정스님 


           본래 모습을 찾지 못하면 영원히 윤회의 바퀴에서 헤매게 된다. 

          우리의 목적은, 

          첫째는 자기의 참 모습을 찾는 것이요, 

          둘째는 중생을 제도하는 것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계율이 청정해야 한다.


          삼계(三界)는 인과(因果)의 세계이고 오음(五陰)의 세계이다. 

          오음과 습성과 번뇌를 없애려면 계행으로 수도(修道)의 몸을 만들어야 한다.


          계정혜 삼학은 만고에 규범이다.

          그러나 공부하는 일이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다생(多生)에 지은 집착과 업력 때문인데, 

          선(禪)을 수련하는 것이 가장 어렵고 단조로우며 무료하기 짝이 없다.

          그러나 이 무료와 단조로움을 꿰뚫어야 한다. 

          이 무료함은 모든 망상을 해소하여 지혜를 내뿜게 하고, 

          무료는 비할 데 없는 침투력을 가지고 있으며, 

          무료는 뿌리를 뽑을 수 있고, 

          이 무료는 인생을 환히 들여다 볼 수 있고, 

          이 무료는 결국 성불에 이르게 한다.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나를 찾는 공부에 쏟아 부어라.

          에너지를 쓸 데 없는데 사용하여 윤회의 업, 고통의 업을 만드는데 써서 되겠는가. 

          수행에 몰두하면 에너지는 수행의 에너지가 되고, 

          성교할 때는 에너지가 성(性)의 문(門)으로 들어가 성 에너지가 된다.


          에너지는 중성(中性)이다. 

          에너지가 어느 문으로 흐르느냐에 따라 곧 그 곳의 에너지로 변한다.


           에너지를 수행에 쓰면 영성(靈性)의 에너지로 변한다.

           모든 에너지를 도(道)의 문으로 향하게 한다면 탁업(濁業)에 빠져들 일은 없을 것이다.


          에너지는 일종의 변화의 힘이다. 

          우주에는 한 가지 에너지 밖에 없다. 

          지구의 모든 생물들은 다 이 에너지를 쓴다.

           다만 에너지가 흡수된 다음에는 여러 형태와 변화를 가지게 된다.

           이를테면 사과나무는 그의 에너지를 표현하고

           장미꽃은 그의 에너지를 표현한다. 


          사람들은 각양각색의 형태를 표현하는데, 

          즉 기뻐하기도 하고, 슬퍼하기도 하고, 욕도 하고, 

          사랑도 하고, 증오도 하고, 싸움도 하고, 기도도 한다. 


          정진하는 입장에선 육근(六根)을 폐쇄하고 에너지를 정진하는데 

          집중한다면 견성(見性)을 안할 수 없게 되리라.


          명심(明心)이 인(因)이라면 견성은 과(果)이고, 

          견성이 인이라면 입도(入道)가 과이다. 

          입도가 인이라면 무아(無我)가 과이다. 

          철저한 무아가 성취되기 전에는 용무생사(用無生死)는 있을 수 없다.

          지무생사(知無生死)와 계무생사(契無生死), 

          그리고 증무생사(證無生死)가 완전한 것이 아니라면 

          더 높은 용무생사를 향해 갈 뿐이다. 


          환경의 시련을 이겨내지 못한다면 정력(定力)은 정력이라 할 수 없다.


          철수개화(鐵樹開花)요, 화중생련(火中生蓮)의 경지가 아니고서는 

          회광반조(回光返照)는 계속 되어야 한다.



          天然本性在何方 密密廻光切莫忘

          驀得疑團成粉碎 大地山河一時收


          천연한 본래 성품 어디에 있나.

          밀밀히 빛을 돌려 잊지마라.

          갑자기 의심덩어리가 부서져 없어지면

          산하대지를 일시에 거두리라.



          - 하안거 해제법어 중에서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계와 마음   (0) 2017.08.28
술을 권하며...문징명(文徵明)  (0) 2017.08.17
마음의 구멍 ...구상  (0) 2017.08.10
본디 그대로 / 생의 노래  (0) 2017.08.07
빈 손 ...허윤정  (0) 2017.08.03